728x90

소개 42

전문가가 되지 못하는 비밀 타당성과 피드백의 중요성

수십 년 동안 한 가지 일을 하면서도 전문가가 되지 못하는 비결에 대해 다룬 이 글은 두 학파의 대립을 중심으로 인간의 직관적 판단과 전문성 형성에 대해 탐구합니다.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다니엘 카네만 교수의 HB(Heuristics and Bias) 학파와 게리 클라인이 이끄는 NDM(Naturalistic Decision Making) 학파는 전문가들의 능력에 대해 서로 상반된 주장을 펼칩니다. 이 글은 두 학파의 주장과 그 공통점을 바탕으로 전문성이 형성되는 조건을 탐구합니다.HB와 NDM 학파의 대립HB 학파는 전문가들의 직관적 판단이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NDM 학파는 전문가들의 직관적 판단이 신뢰할 만하다고 주장합니다. 말콤 글래드웰의 는 NDM 학파의 입장을 대변하는 대중서로..

숙취가 안된 코딩 그리고 장고와 DRF: 쿼리큘럼 추측 및 개인 학습 계획

커리큘럼 추측 영상 3개 추가 그리고 장고 기초 심화 구분 이전 수업에 대한 커리큘럼 추측을 남긴 적 있다.1차와 2차 부분에서 장고 기초와 심화 구분이 있는데 시간표 공유 된 거 보니 추측은 맞았다.https://blog.leeyounghun.com/23 쿼리큘럼 예측 그리고 듣고 싶은 강의 물어보기 플라스크 SQL 웹서버 복습쿼리큘럼 설명회 듣고 수업이 이렇게 진행되지 않을까?깃허브파이썬알고리즘SQLCS웹개발플라스크장고기초심화프로젝트취업준비(이력서)쿼리큘럼 설명회에 AI관련 언급은 있었지만 6번~ 8번 사blog.leeyounghun.comhttps://blog.leeyounghun.com/entry/%ED%94%8C%EB%9D%BC%EC%8A%A4%ED%81%AC-%EC%A0%95%EC%A0%81-..

반복의 힘과 한계 달인이 되기 위한 진정한 비결

"달인이 되는 비결"은 반복을 통해 전문성을 쌓는 것의 중요성과 한계를 심도 있게 탐구하는 책입니다. 특히, 일상적인 행동인 세수와 양치질을 예시로 들며, 단순 반복만으로는 달인이 될 수 없음을 강조합니다. 이 책은 개발자와 같은 전문 직종 종사자들이 자신의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하기 위해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제시합니다.반복의 중요성책은 전문성 획득에 있어 반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매일 세수하고 양치하듯이 꾸준한 반복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기본적인 숙달이 가능하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개발자가 코딩을 매일 반복하여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능력을 키우는 것과 유사합니다.전문성이 쌓이지 않는 이유하지만, 단순히 반복한다고 해서 모두가 달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책은 세수와 양치질을 예..

자기계발의 중요성 및 방법론

회고의 의미와 중요성회고 활동: 일이 끝난 후, 연말에는 자신이 한 일, 느낀 점, 배운 교훈 등을 되돌아보는 활동.지인과 함께: 혼자보다는 지인들과 함께 회고하면 더 많은 자극을 받음.자기 계발: 현재의 나에게 투자한 것이 미래의 나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중요.자기 계발과 성과의 관계투자의 결과: 1~2년 전의 자기 계발이 현재의 업무 성과와 인정으로 이어짐.연속적인 투자 필요: 현재가 만족스럽더라도 지속적으로 자기계발하지 않으면 미래에는 성과가 떨어질 수 있음.균형성과표 (Balanced Scorecard, BSC)BSC의 개념: 회사의 퍼포먼스를 재정적 수치 외에도 창의적, 사회적 측면에서 평가.개인의 적용: 창의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커리어에 도움이 됨.미래 경쟁력을 위한 학습암..

일주일간 수업 참여와 개인별 공부 느낀점 내일의 새롭게 시작

개인 공부 그리고 개인 프로젝트사전캠프 포함해서 파이썬 프로그래밍 공부한지 한달 조금 되었다.  그렇다고해서 고수 처럼 프로그래밍 코드를 작성 할줄 아는가? 놉!!!한달 배우고 잘하는 사람도 있고 난 못하는 쪽이다. 라즈베리파이 3B+ 5개 다 사용하지 않을 것 같고 스크랩한 데이터를 관리 하는 방향으로 목표를 설정하면서 내일부터 2~3주간은 장고 프레임웍 공부하면서 스크랩 쪽으로 개발을 할것이다. 첫번째 팀과 두번째 팀 같이 과제 하면서 좋은 느낌만 있었다.뭐라고 해야할까? 단점과 부정적인 없었고 뭔지 모르겠지만 열심히 공부하면서 완성했다는 점에 난 만족한다.그리고 나 같은경우 플라스크 책 한권 구매 하면서 공부해서인지 생각보다 더 쉽게 이해 하고 해결해 가는 방향도 좋아진것 같다. 다음 수업의 알고리..

TIL to 코윗미 변경

코윗미 란? 스터디 위드 미를 코드 위드 미 (스윗미)생각했었다. 하지만 유명한 개발자 에디터 툴 중에 코드 위드 미라는 플러그인 있다.우리 함께 코드를 작성해요. 난 컨텐츠 기반이기 때문에 ㅋㅋㅋ 그냥 코윗미 줄여서 카테고리를 수정하였다. 무작정 따라 코드 작성하기 플라스크는오늘 마무리 짓고 무작정 따라 코드 작성하기는 fastapi 오늘부터 공부 시작 오늘의 학습 내용플라스크는 처음부터 끝까지 책보가 따라 한 후 fastapi 잠깐 살짝 봤는데 음.. 비슷해 보인다. 어려웠던 점파이썬 웹 프레임웍 자체가 처음이다 보니 음... 쉽지는 않다.  내일의 학습 목표플라스크는 일단 무작정 따라 만들어보기로 끝내 볼 생각이다.일단 플라스크 to fastapi 또는 플라스크 to Djago 이렇게 고민 중이다...

개발 엔지니어 보다 AX MVP 벤지니어

블로그 카테고리 Triple C 생성하였다. 이 카테고리는 매주 토요일, 일요일만 작성하는 카테고리이다.Triple C라는 건 Coding Coffee Cafe 약자이다. 브랜드 카페이든 개인이 운영하는 카페이든 주말 한 시간만 이용하는 조건에서 생긴 카페이다.노트북 충전기 필요 없고 핸드폰 핫스폿 이용해서 딱 1시간만 이용한다는 규칙을 만들었다. 이 블로그는 원래 내일배움카드 KDT TIL 개발자 전용 블로그이다.하지만 시간을 버리는게 싫고 시간을 썼으면 잘 활용하는 게 좋아서 매일 같이 블로그를 작성하다 보니 일기처럼 매일 작성하는 방향으로 바꿨다. 난 솔직히 전공 비전공 따지는 것도 내 성격에는 맞지 않고 대학 나오고 안 나오고 중요하지 않다.내 스타일은 0과 1이다 중간을 싫어한다 하려면 하고 안..

의도적 수련의 힘 개발자 코딩의 그 힘은 어디서 오는것일까?

이 책은 업무와 학습에서의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를 탐구합니다.저자는 NASA의 우주선 사고 사례와 품질 관리의 대가 에드워드 데밍의 이론을 통해 조직 문화와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조직 내 전문가의 의견이 무시되는 위험성'1만 시간 법칙'의 재해석 - 단순 시간 투자가 아닌 '의도적 수련'의 중요성피드백 주기와 학습 효과의 관계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애자일 방법론과 의도적 수련의 연관성저자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의도적 수련'의 개념을 명확히 설명합니다.골프 퍼팅 연습, 스키너의 상자 실험 등은 피드백의 즉시성과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를 잘 보여줍니다.특히 진단 전문의의 자기 평가 방법은 실제 업무에서 의도적 수련을 적용하는 좋은 예시입니다. 이론과 실제 사례를 균형 있게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

훌륭한 사람 뽑기보다 더 중요한 것 교육과 시스템 플라스크 회원관리 공부

잘 뽑는 것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조직에서 사람을 뽑는 데 많은 신경을 쓰는 만큼, 그 이후 그들을 어떻게 교육하고 훈련시켜 성장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으며 이는 마치 비싼 운동기구를 사놓고 실제로 운동을 하지 않는 것과 같다는 비유가 매우 인상 깊었다.직무 성과와 교육, 훈련의 관계를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얼마나 시간을 쓰는지에 따라 직무 성과가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는 매우 설득력 있었습니다. 사람들 간의 전문성 차이는 그들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훈련하느냐에 달려있다는 점은 인재 관리를 재고해볼 만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강조하는 것은 훌륭한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사람의 중요성 플라스크 MySQL연동 방법 복붙 정리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서는 '사람' 요소가 매우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었고, 이에 따라 인력 구인/선발 프로세스 컨설팅까지 하게 되었다.조직에서 직원 채용 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예: 경력)가 실제로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별것 아니라고 여겼던 요소가 중요할 수 있다.채용 기준과 실제 업무 성과를 분석해보면 기존 기준이 성과와 연관성이 없을 수 있음을 알게 된다.오히려 경력이 높을수록 편견을 가질 수 있어 최소한의 경력만 요구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구조화된 인터뷰, 실제 업무 샘플링, 인턴십 등의 방식을 통해 실력을 정확히 가늠하고, 실제 동료들과 함께 인터뷰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학습한 내용에서의 발견Flask와 MySQL 연동 시 SQLAlchemy를 사용하면 ORM(Obj..

728x90